금강산은 면적은 약 530㎢이고,
1952년 북한의 행정구역 개편 전에는
회양(淮陽)·통천(通川)·고성(高城)·인제의
4개군에 걸쳐 있었다.
최고봉인 비로봉(1,638m)을 중심으로
북쪽에는 옥녀봉(1천4백24m), 상등봉(1천2백27m),
오봉산(1천2백64m), 선창산(1천2백26m),
금수봉(1천1백13m) 등이 우뚝 솟아있고
남쪽으로는 월출봉(1천5백80m), 일출봉(1천5백52m),
백마봉(1천5백10m), 차일봉등이 있고,
삼선암, 토끼바위, 사자바위 등
무수한 기암괴석을 품고 있다.
동남쪽으로는
장군산(1천5백60m)과 채하봉(1천5백88m),
서쪽으로는
영랑봉(1천6백1m), 용허봉(1천4백56m) 등이,
동쪽에는 세존봉등이 군소 봉우리들을
거느린채 위용을 자랑한다.
또 금강산에는 비로대, 천선대, 망군대,
백운대, 칠보대 등 20여개의 전망대가 있습니다.
거봉이 10개에 이르며 1천m이상의
준봉은 무려 60여개나 된다.
크고 작은 봉우리를 모두 합치면
헤아리기 어려워 선조들은
1만2천봉이라 했습니다.
1) 동요 금강산
1. 금강산 찾아가자 일만이천봉
볼수록 아름답고 신기하구나
철 따라 고운 옷 갈아입는 산
이름도 아름다워 금강이라네, 금강이라네.
2. 금강산 보고 싶다 다시 또 한 번
맑은 물 굽이쳐 폭포 이루고
갖가지 옛이야기 가득 지닌 산
이름도 찬란하여 금강이라네, 금강이라네.
금강산 (강소천 작사 / 나운영 작곡)
강소천[姜小泉, 1915~1963 :
한국의 아동문학가.본명 용률. 함남 고원 출생.
함흥 영생고보 졸업. 해방 후
청진여자고급중학등에서
교편생활을 하다가 월남하였다.
1930년 아이생활등에
동요 《버드나무 열매》 등을 발표하고,
동요 《민들레와 울아기》(1930)가
조선일보 현상문예에 당선되었다.
1939년을 전후하여 동화와
아동소설도 쓰기 시작하여
금강산,돌멩이,토끼 삼형제,
전등불 이야기등 많은 작품을 발표했다.
《아동문학》 편집위원,
한국보육대학 ·이화여대 ·연세대 강사,
아동문학연구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출처:네이버 백과사전)
2) 송병완 금강산 일만이천봉 시집작성
2000년 「대한겨레문학」시 부분
신인으로 등단한 송병완 시집.
2003년 7월 18일 몽골 태고의
지구 모습인 에싸라트헤이르한산을 보고
2004년 11월 30일 금강산을
여행한 것을 토대로 한
두번째 산(山) 시집이다.
한시 중간중간에 영시를 함께 수록하였다.
목차
- 서문
1. 무등산을 바라보며 2. 그리운 금강산
3. 휴전선 허수아비 4. 민둥산
5. 금강산 소나무 6. 금강산 문필봉
7. 금강산 화상대 8. 금강산 일만이천봉
9. 금강산 연주담 10. 금강산 비룡폭포
11. 금강산 금강수야 12. 금강산 구룡폭포
13. 아름다운 강산 그리운 금강산 14. 운무
15. 금강산 장전항의 부르스 16. 금강산 식후경
17. 해금강 18. 관동팔경 삼일포
19. 아름다운 금강산아 20. 검봉산 .....
3) <화엄경>
화엄경에 동북쪽 바다 가운데에
금강산이 있는데 그곳에서
담무갈보살이 1만2천권속과 함께
항상 반야를 설법하고 있다는
내용이 나옵니다.
여기에서 금강산 일만이천봉이라는
말이 나왔다는 설도 있습니다.
담무갈보살은 법을 일으키는 보살이므로
법기보살이라고도 부르는데요.
고려 태조 왕건이 금강산에 오르던 중
법기보살과 그 권속들을 친견하고 감격하여
그자리에 정양사를 세웠다고
전해지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금강산 최고봉인
비로봉도 <화엄경>의
주불인 비로자나불에서
따온 이름이라고 합니다.
북한 강원도 회양군 내금강면
금강산(金剛山) 법기봉(法起峰)도
법기보살에서 이름지어진 것이라고 합니다.
법기봉은 만폭동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승려 보덕이
창건한 사찰. 암자.
627년(영류왕 10)에 보덕(普德)이
수도하기 위해서 자연굴을 이용하여
절을 창건하였고,
1115년(의종 10)에는 회정(懷正)이 중창하였습니다.
① 불교 경전인 화엄경(華嚴經)에
‘‘법기보살(法起菩薩)이 일만이천 권속(眷屬)과
항시 반야경(般若經)을 설법하고
있는 곳이 금강산이라’’ 고 했고,
신기하게도 온 산이 금강석처럼
단단한 돌로 이루어진 산이어서
금강산이라는 이름이
주로 쓰여지게 되었다고 한다.
② 고려 태조 왕건(王建)이
어느날 풍악산(금강산)에 왔는데
내금강의 한 지점인 배점에
다다랐을 때갑자기 법기보살이
일만이천 무리를 거느리고 나타났다.
태조는 황급히 엎드려
절을 했는데 그 절한 자리가
배점 (拜岾 또는 拜在嶺)이고,
법기보살이 나타나 광채를 발하던 곳을
방광대(放光臺)라 하여
그 자리에 정양사(正陽寺)를 세우고
왕건의 원찰로 삼았다고 한다.
③ 1307년 노영스님이 그린
법기보살출현도(法起菩薩出顯圖)에
잘 나타나 있는데 이 그림이
가장 오래된 금강산 그림이면서
금강산의 이름과 일만이천봉이라는
유래를 말해 주는 것으로서
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④ 여지승람 회양도호부조에
하륜이 중을 보내는 시에서
황산을 금강산이라고 일컫는 것은
장경의 설을 빌린것이다.
장경에 말하기를, “동해속의 팔만유순의
곳에 달무갈(성인보살)의
무리 1만2천이 항상 그 가운데 머문다 ”하였으니
풍악(금강산)을 말한 것이 아니다.
1만2천은 산이 아닌 달무갈(성인보살)의
제자의 숫자를 말하는 것이다.
▲ 금강내산전도金剛內山全圖|비단에 색|54.5×33cm|
Mt. Geumgangsan|성 베네딕도회 왜관 수도원 소장
결론
정리하면 일만이천은
보살의 제자들이 금강산에
출현한 숫자이지
봉우리 숫자는 아닙니다.
즉, 일만이천이 금강산과 연결되면서
봉우리숫자로 변경인식된 것입니다.
강소천은 일제시대인 1930년대
후반에 동요 <금강산>에서
일만이천봉이란 표현을 썼고,
동요 금강산이 보급화되면서
전국민이 그렇게 인식하게 된 것입니다.
송병완 시인도 2000년대
<금강산 일만이천봉>으로
시집을 발간하였습니다.
중국의 시선 이태백은
자신의 백발이 삼천장이요.
여산 폭포 높이가
삼천척이라고 과장을 하였고,
백제 의자왕의 삼천궁녀가
낙화암에서 떨어졌다는 말이 있듯이
숫자는 그만큼 많았다라는
은유적인 표현이라고 보는것이
맞다고 생각됩니다.
실제로 1만2천봉이 되지는 못할지라도
아래 과거에 금강산을 방문한
사람들의 글귀로 마무리 하겠습니다.
금강산 관련 글귀
----------------
소동파
송나라의 소동파(蘇東坡)가 말하기를
원생고려국 일견금강산
願生高麗國 一見金剛山
고려국에 태어나
금강산을 한 번 보는 게 내 소원
----------------
이사벨라 버드 비
『한국과 그 이웃 나라들』
(1894.이인화 역,1994.살림)이라는
저서를 펴낸 이사벨라 버드 비
(I.B.Bishop,1831~1904)
“금강산의 아름다움은
세계 어느 명산의
아름다움도 초월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쓴 글은
한갓 목록에 지나지 않는다.
미의 모든 요소로 가득 찬
이 대규모의 협곡은
너무도 황홀하여
사람을 마비시킬 지경이다.”
----------------
구스타프
1926년 당시 스웨덴의 황태자인
구스타프(Gustav Ⅵ Adolf, 1882~1973)가
신혼여행으로 일본을 거쳐 한국에 왔을 때
“하나님이 천지 창조를 하신
엿새 중 마지막 하루는
오직 금강산을 만드는 데 보냈을 것 같다”
----------------
시인 고은
시인 고은 선생도
만물상의 기기묘묘한
영봉을 치켜 올려다 보고는
이렇게 영탄조로 말했다고합니다.
“아! 미치겠구나!
이런 절경을 보고도
실성하지 않는 놈이 있다면
그놈이 실성한 놈이다.”
----------------
창랑 홍세태
조선시대 중인신분으로서
숙종 때 최고의 시인으로 손꼽히던
창랑(滄浪) 홍세태(洪世泰·1653 ~ 1725)의
불금강행(不金剛行)
"지금 금강산의 산빛이
먼데서 비치는데
나의 마음과 눈을 먼저
빼앗아가고 있으니
내 재주와 역량으로는
도저히 저 신령스런 경치를
묘사해내지 못할 것 같다.
나는 평범한 시구를
남에게 보여주기 싫어서
명산에 들어가지 않는 것이다.
금강산을 한번 본다는 것은
누구나 바라는 바인데,
나는 시 때문에 들어가지 못한다."
[열린책들]그림으로 떠나는 금강산 여행 : 화폭 속 화가의 발자취를 따라 - 손안의 통일 10
COUPANG
www.coupang.com
글을 쓰다보니
금강산 죽기전에
한번 가보고 싶긴 하네요.
금강산 찾아가자
일만 이천봉~
국립산악박물관, ‘금강산’ 관련 유물 공개구입
국립산악박물관, ‘금강산’ 관련 유물 공개구입
한국등산·트레킹지원센터 국립산악박물관에서는 4월 4일(월)까지 유물을 공개 구입한다고 밝혔다.공개구입 대상 유물은 조선 시대부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산과 관련된 고문서, 고지도,
vodo.kr
북한 묘향산·금강산서 고려시대 불상 발굴
북한 묘향산·금강산서 고려시대 불상 발굴
북한 묘향산·금강산서 국보급 불상 발굴 (서울=연합뉴스) 얼마전 북한의 묘향산과 금강산에서 국보적 가치를 가진 금은약사여래3존불상과 금동아미타여래3존불상이 발굴됐다고 대외선전매체
vodo.kr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잡학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태스크(Tasks)를 이용한 할일(To-do List) 관리 일정관리 (2) | 2023.02.09 |
---|---|
내가 듣는 노래 가수는 얼마를 벌까? / 노래 1곡당 가수수익 저작권료 (0) | 2023.02.02 |
달의 모양이 바뀌는 이유 달의 여러이름과 모습 / 달의 특징 (0) | 2023.01.13 |
저작권 걱정없는 고퀄리티 사진 사이트 모음 (0) | 2023.01.13 |
직위, 직책 정리, 과장 차장 누가 더 높은걸까? 팀장 부장 누가 더 높은걸까? (0) | 2022.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