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수를 사용할때는 괜찮은데
목욜물을 받으려고 온수를 틀면
뿌연물이 나와서
꺼름칙한 경우가 있지요.
온수물이 뿌옇게
나오는 이유는
수증기 방울 때문입니다.
염소농도가 높은것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은데
온수가 뿌옇게 나오는 것은
문제가 없습니다.
이 원인이
수돗물에 섞여 있는
염소와는 전혀
관련이 없다고 합니다.
염소 때문이라면
염소로 소독을 하는
모든 수돗물이 따뜻한 물로 나올 경우라면
모두 뿌옇게 나와야 하지만
실제로 그렇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따뜻한 물을 틀때
물이 뿌옇게 보이는 것은
보일러에서 물을 덮이는
방식에 따라 달라집니다.
보일러 마다 물을 데우는
방식은 조금씩 다른데
따듯한 물이 뿌옇게 나오는 보일러는
가느다란 파이프 여러개에
차가운 물을 통과시키고
이것을 뜨겁하게 하여
물을 덮힙다 합니다.
정수기 사용시에도
이런현상이 보이죠?
얇은관을 통해서 물이 나오다보니
수압차이로 발생되는
작은 공기 방울들이
생기게 되기때문입니다.
온수를 만드는 과정에서
작은 수증기 방울들이 생겨나고
이것이 수도꼭지를 통해서
나오면 물이 뿌옇게 보입니다.
물 속 공기가 대기로
날아가려고 하면서
산소 거품들이 빛을 난반사 시켜
온수를 불투명한 색으로
보이게 하는 것입니다.
즉, 따듯한 물이 뿌옇게
보이는 이유는
따듯한 물 속에 작은 수증기
방울들 때문입니다.
이 수증기 방울들은
시간이 조금 지나면
사라지기 때문에 물이
투명하게 변하게 됩니다.
즉 염소에 의한 것이 아닌
수증기 방울에 의한 것이므로
인체에는 전혀 무해하다 합니다.
미지근하거나 찬물의 경우
수증기 방울이
생기지 않기에
맑게 보이는 것이구요.
따뜻한 물도 뿌옇게 나오지만
시간이 지나면 수증기 방울들이
사라져서 맑아지게 됩니다.
이를 "백수현상" 이라고 합니다.
기체는 온도가 낮을수록
물에 작 녹는 성질이 있는데요.
온도가 높은 여름철보다
추운 겨울이 되면
더 많은 공기가 물에 녹아있습니다.
보일러의 뜨거운 물을 만들기 위해
열을 가해서 순간적으로 물을 데우는데
이때 급수관내의 강한 압력으로
공기가 물 속에 주입됩니다.
따라서 온수속에 공기가
과포화된 상태가 되는 것이지요.
탄산음료와 같은 상태라고 보면 됩니다.
기포가 물 밖으로 빠져나가면
다시 투명하게 물이 변하는 것이지요.
이 기포는 공기이므로
수질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물 속에서 기체는 온도가 더 낮을 때
많이 녹아있다보니
추운겨울에 백수현상이
더 잘 일어납니다.
만약에 시간이 지나도
색이 변하지 않는다면
백수현상이 아닌 물에 뭔가가
포함되었다고 봐야하므로
이 경우에는 수질검사를 해보셔야겠지요.
온수를 사용할 때만 뿌연물이 나온다?
물 속 공기 과포화 현상 ,
즉 백수현상 때문입니다.
안심하고 사용하세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명의이전 서류 및 방법 (0) | 2023.01.18 |
---|---|
중고차 살때 사고차량인지 확인하는 방법 (0) | 2023.01.18 |
콜드체인 시스템이란? (0) | 2023.01.15 |
생크림과 휘핑크림의 차이점 / 장단점 (0) | 2023.01.15 |
냉장고 이동시 전원, 냉장고운반, 김치냉장고 이동시 전원코드 언제? (0) | 2023.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