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이 대세종인 가운데 오미크론의 변이인
스텔스 오미크론의 증가율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국내의 경우 PCR검사의 정확도가 높다보니
스텔스오미크론이 더 잘 발견되는것 같은데요.
스텔스오미크론은 무엇인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끝나지 않았다” 스텔스 오미크론 증가... 전파력·중증유발성은?
“끝나지 않았다” 스텔스 오미크론 증가... 전파력·중증유발성은?
오미크론 변이 감염자 비중이 98.9%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또한 오미크론 변이보다 전파력이 높다고 알려진 스텔스 오미크론 변이 검출률은 4.9%로 증가 추세를 보였다. 21일
vodo.kr
오미크론의 변이 바이러스 인 스텔스 오미크론이
국내에서 증가세에 있습니다.
21일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최근 1주간(2월13일~19일)
코로나19 주간 발생현황을 발표했습니다.
스텔스 오미크론으로 알려진 오미크론 세부계통 BA.2의
국내 감염 검출률은 4.9%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日 연구진 "스텔스 오미크론, 전염력·중증유발 더 심각할 수도"
日 연구진 스텔스 오미크론, 전염력·중증유발 더 심각할 수도
WHO BA.2 예의주시…중국·인도 등 최소 10개국서 이미 우세종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의 하위 변이인 '스텔
vodo.kr
일본 도쿄대 사토 케이 연구원팀은 의학논문 사전 등록 사이트
'바이오아카이브'(bioRxiv.org)에서 실험실 연구 결과 스텔스 오미크론이
BA.1보다 더 빨리 확산하고 중증도 더 많이 유발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들은 또 스텔스 오미크론도 BA.1과 같이 백신에 의해 유도된
면역을 회피할 수 있는 특징들을 가지고 있으며 원래 오미크론 치료에
사용되는 단일클론 항체치료제 일부에 저항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그러나 추가접종(부스터샷)을 하면 백신의 보호 효과가 회복돼
감염 후 중증으로 발전할 위험이 74% 정도 줄어든다고 말했다.
사이토 연구원은 이 연구 결과로 볼 때 스텔스 오미크론은
오이크론의 일종으로 간주해서는 안 되며 더욱 면밀한 감시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스텔스 오미크론은 전염력이 BA.1보다 30∼50% 강한 것으로 추정된다.
지금까지 세계 74개국, 미국에서는 47개 주에서 발견됐으며,
중국·인도·파키스탄·방글라데시·필리핀 등 아시아와 덴마크 등
최소 10개국에서는 이미 우세종이 됐다.
WHO "스텔스 오미크론, 전 세계 확산할 듯"
WHO 스텔스 오미크론, 전 세계 확산할 듯
'스텔스 오미크론' [사진=세계보건기구 홈페이지 캡처] (서울=포커스데일리) 문성준 기자 = 세계보건기구(W
vodo.kr
덴마크에서 진행된 한 연구에 따르면
B.A.2(스텔스오미크론)는 B.A.1(오미크론)보다 전염력이 1.5배 높으며,
부스터샷을 접종한 사람까지 감염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백신 미접종자보다 전파력은 낮다.
백신 접종과 함께 실내 마스크 착용도 권고했다.
스텔스 오미크론은 무엇인가?
코로나19 유전자 증폭(PCR) 검사에서
다른 변이와 잘 구분되지 않는
이른바 '스텔스' 오미크론 변이가 발견됐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오미크론을 포함한 모든 코로나19 바이러스는
PCR 검사에 바이러스라는 사실 자체가 감지되지만,
여러 변이 중에서도 오미크론인지 여부는
추가 게놈 검사를 해야 정확하게 확인된다.
다만 일부 PCR 검사 도구는 오미크론 변이의
특정 유전자 결함을 파악해 변이의 종류가
오미크론일 수 있다는 사실을 포착할 수 있는데,
이 스텔스 변이는 해당 결함이 없어
적어도 PCR 검사에서는 정체를 숨길 수 있다는 것이다.
즉, PCR검사에서 바이러스는 검출이 되지만
오미크론인지 아닌지는 알기 힘든 녀석이라고 보면 됩니다.
스텔스 오미크론은 π(피)로 이름을 바꿔야 하지 않나? - 히트뉴스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해 11월 26일 새 \'우려변이(variant of concern)\'의 이름을 그리스 알파벳의 15번째 글자인 오미크론으로 지정했다. WHO가 지금까지 그리스 알파벳으로 변이 이름을 지었고, \'
www.hitnews.co.kr
오미크론 BA.1의 스파이크 단백질(Spike Protein) 부분 가운데
최소한 30개 아미노산이 바뀌었고
3 군데의 결손(deletion)과 작은 한 곳의 삽입(insertion)이 존재한다.
특별히 30개 아미노산 변이 중에 15개가 수용체결합부위,
‘receptor binding domain (RBD)’의
상당히 많은 아미노산이다.
즉 오미크론의 변종입니다.
눈에 띄는 Omicron BA.2의 차이점은 알파변이와 BA.1에
존재하던 del69-70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 결실은 스파이크 단백질의 구조 변화를 통해
면역반응을 회피하는 데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오미크론 스파이크 단백질내 아미노산 3개(EPE 모티프)가
삽입되었기에 감기 바이러스와 혼종이 되어 감기화 되어 간다는
주장의 근거인 'ins214EPE' 삽입이 BA.2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런데 왜 오미크론 BA.2가 BA.1보다 더 감기처럼 약한 증상을 보이나?
2차원적인 단백질 순서로는 정말 정확하게 알 수 없는 문제이다.
지난해 12월 7일 오미크론이 온 세상을 지배할 때
BA.2 라는 연관된 변형이 알려졌다.
너무 BA.1 형이 지배하였기에 그 당시 BA.2는 미미하고 관심이 적었다.
그러나 8주가 지나자 분위기가 확 바뀌었다.
이제는 BA.2가 온 세상을 지배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무엇보다 덴마크 결과가 놀랍다.
1월 21에 새로운 코로나19의 65%가 BA.2였다.
덴마크 보건성은 지난달 말 BA.2의 감염력이 오미크론의 1.5배라고 발표했다.
다행히도 BA.2가 사람들을 더 아프게 만들지는 않는다고 한다.
코로나19로 병원에 입원하는 환자 수나 중환자실에 입원하는 숫자가 확실히 줄었다.
그러기에 덴마크 정부는 확신에 차서 2월 1일 자로 거의 모든 팬데믹 규제를 풀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BA.2가 BA.1이 가파르게 떨어지는 현상을
꼬리가 길게 연장하고 있기에 기대보다 오미크론 유행이
더 장기화가 되는 것이다.
BA.2는 기존의 다른 변이에 비해 백신 접종자와
부스터샷을 맞은 사람들을 감염시키는 확률이 높았다.
이놈의 바이러스 변이는 왜 계속 생기는 걸까?
건강한 사람이 감염되면 일반적으로 바이러스가
한 번 복제하면서 몸 밖으로 빠져나간다.
바이러스 자손에게 계속 전달될 수 있는
의미 있는 돌연변이가 확립되기 어렵다.
하지만 면역이 약화된 고령의 기저질환 환자에서는
코로나바이러스가 수개월 동안
복제를 거듭하면서 머무르며 계속 돌연변이를 일으킨다.
면역 체계가 약화된 만성질환자들의 장기간 감염은
면역회피 돌연변이의 축적을 빠르게 초래할 수 있다.
[오미크론 대혼란] 코로나19 신규확진 9만5362명…
누적확진 200만명 돌파(종합)
[오미크론 대혼란] 코로나19 신규확진 9만5362명…누적확진 200만명 돌파(종합)
[세종=뉴스핌] 이경화 기자 =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9만5362명 발생했다. 전일보다 9467명 감소했고 지난주 월요일(5만4619명) 대비로는 4만743명 폭증한
vodo.kr
2월21일 국내 발생 확진자는 9만5218명, 해외 유입 확진자는 144명
총 누적 확진자수는 205만8184명..
이미 200만명의 누적 확진자가 발생했으니.. 걱정입니다.
오미크론이 폐쪽으로는 많이 발현되지 않아
기존 코로나 보다는 중증질환이 적으나
코쪽으로 많이 발현되어 성인에게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으나
유아의 경우 코에 발현될경우 입으로 숨쉬는것이 원활하지 않아서
문제가 될 수 있다고 하네요.아이들은 건강을 유지해야 할텐데..
유아는 접종도 못하고..
마스크도 계속 씌우기가 어려우니..
자가격리가 되지 않도록 조심조심
하는것이 좋을꺼 같아요.
마스크 꼭~ 손소독 자주~
오미크론 확산 이후 5세 미만 영유아 입원율 델타 5배로 '껑충'
오미크론 확산 이후 5세 미만 영유아 입원율 델타 5배로 '껑충'
ⓒ데일리포스트=이미지 제공/pixabay [데일리포스트=김정은 기자] 맹위를 떨치고 있는 코로나19 변이인 오미크론(B.1.1.529)이 확산 중인 국가 상당수에서 영유아 입원사례
vodo.kr
오미크론은 상부 기도에서 감염이 주로 진행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는데,
기도가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아동은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는 것.
다만 오미크론으로 인한 영유아 증세는 이전 변이와
비교해 기침과 미열 등 가벼운 편이었으며,
입원 기간도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코로나 조심하시고
개인위생 잘 챙기시고
혹시나
열이 37.5도 이상
미각 또는 후각 상실
콧물
식은땀
기침
위 증상증 하나만 나타나도 가족과도 일단 격리~
마스크 착용
거리두리
손소독
백신 접종
끝까지 이겨냅시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19 재유행.. 가족확진인데 나는 음성 괜찮을까? 전염력 언제까지..잠복기 (0) | 2022.07.16 |
---|---|
[건강검진]얼리텍, 건강검진 선택검사 대장암선별검사 얼리텍은 어떤 검사일까? (0) | 2022.06.04 |
[건강검진] 대장암 검진 방법, 대장내시경 검상방법? 주의사항? 대장내시경주기는? 용종이란? (0) | 2022.06.04 |
고혈압에 좋은 식습관 및 고혈압에 좋은 음식 “전 세계 인구의 혈압은 상승중” (0) | 2022.02.12 |
코로나증상 오미크론증상 차이 코로나19 검사 방법 양성 음성 잠복기 비교 정리 (0) | 2022.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