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검진을 받으려고
검진센터에 예약을 하려고 보면
선택검사를 안내합니다.
너무 많은 선택검사에
정신이 없는데
뇌, 목, 허리의 경우
CT검사도 있고
MRI검사도 있어서
무엇을 선택해야 좋을지
고민되지요.
CT와 MR검사의 차이점과
각 검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CT검사 MR 검사의 차이점
1. 검사법
CT는 방사선을 이용한 단층촬영
MR은 자기장을 이용한 단층촬영
2. CT의 장단점
장점
- 급성 출혈 및 두개골절 확인에 유용
- 폐암, 폐의 염증성 질환, 만성기관지 질환 진단
- 간암, 부인암, 췌장암, 담도암 등의 암진단
- 위암치료를 위한 병기 진단
- 신장 질환, 부신 질환 환자
단점
- 하나의 단면상밖에 보지 못함
- X-Ray를 이용하기에 인체에 유해함
- 조영제 사용시 부작용이 있을 수 있음
3. MRI의 장단점
장점
- 뇌실질 병변(오래된 출혈)
- 관절부위(고관절, 견관절, 팔꿈치, 무릎 등)
- 목이나 허리 등의 질환 (추간판 탈출증 등)
- 신경질환이나 근육질환
단점
- 검사 수가가 고가임
- 몸속 금속 물질이 있으면 검사 불가
- 심박동 기기 사용시 검사 불가
4. CT와 MRI 비교
CT : 전산화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 CT : X선을 이용하여 인체의
단층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
인체의 한 단면 주위를 돌면서
가느다란 X선을 투과하고
X선이 인체를 통과하면서
감소되는 양을 측정
인체 내부 장기들은 각 밀도 차에
의해 X선이 투과되는 방향에 따라
흡수하는 정도가 서로 다른데
이것이 투과된 정도를 컴퓨터로
분석, 장기의 밀도를 결정하고
그 정보를 재구성해서 한 단면의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
•적용부위 : 폐·간·위·뼈 등의 종양,
외상 질환 등을 검사할 때 사용
• 검사시간 : 약 5~15분
CT촬영주의사항
-방사선이용으로 임신, 수유중이거나 임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조영제 사용의 경우 조영제를 투여 후 이상반응을 경험한 경우
(조영제 사용시 8시간 금식필요)
-인공심장박동기, 심장충격기 등 의료기기를 몸에 이식한 경우
-폐쇄공포증 환자
-검사 중 움직이면 안됨
-검사부의의 모든 금속물 제거
-위장조영전에 실시(폐CT, 허리CT, 복부CT)
• 검진센터 검사의 종류 :
-뇌CT
알수있는 질환
뇌종양, 급성외상에 의한 뇌출혈, 두개골절의 신속한 진단,
동맥류나 뇌경색 등 혈관장애. 두개기형 환자의 진단
-폐CT
알수있는 질환
폐암, 기관지 및 종격동 질환의 진단,
악성임파종을 비롯한 각 부위의 종양이 폐로 전이되었는지 여부,
림프절 크기의 파악
-목CT(경추CT)
알수있는 질환
목디스크, 골절, 척추이상
-허리CT(요추CT)알수있는 질환
알수있는 질환
허리디스크, 골절, 척추이상
-복부CT
알수있는 질환
복부소화기질환, 외상시 출혈,
복수, 종괴의 전이 유무와 병기
-복부비만CT
알수있는질환
내장비만
-심장석회화CT / 관상동맥석회화
알수있는질환
심장동맥병, 심근경색, 협심증, 허혈성 심장질환의
원인인 심장혈관벽의 석회화 정도
건강검진 사용 설명서:건강검진 제대로 받고 똑똑하게 활용하자!
COUPANG
www.coupang.com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는 강한 자기장을 발생시켜
인체의 단층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
•인체를 자장이 형성되어 있는
커다란통으로 만든 자석 장치에
눕히고 고주파를 발생시켜
인체에 보낸 후 인체 내의
수소원자핵의 반응으로 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모아
컴퓨터로 계산하여 인체의 모든 부분을
단면 및 3차원 영상으로 재구성하여
질병의 유무를 진단하는 검사
•적용부위 : 주로 근육, 인대,
신경(뇌질환, 디스크) 등의 병변을 검사할 때 사용
•검사시간 : 약 20~40분
MRI 촬영주의사항
-심장박동기 · 신경자극기를 부착자
-동맥류협자,달팽이관 이식을 시술한 분
-금속물질을 체내에 이식한 사람 검사불가
-검사 중 움직이면 안됨
-자기(자석)에 약한 핸드폰, 카드 등은
검사실내로 가지고 가면 안됨
-임신부(12주 이내)의 경우 검사 불가
-폐쇄공포증 환자
• 검진센터 검사의 종류 :
-뇌MRA (뇌혈관)
알수있는질환
죽상경화증, 전 교통동맥, 후 교통동맥,
전대뇌동맥 등 주요 뇌혈관 진단
-뇌MRI
알수있는질환
뇌종양, 뇌졸중 등의 진단 및 치료효과의
추적 검사 등에 이용
뇌조직의 변화
두통, 어지럼증 등 대뇌 신경계통의 변화
-목MRI : C-SPINE MRI
알수있는질환
척수관절
디스크 진단
척수와 신경뿌리를 조사하는데 유용
-허리MRI : L-SPINE MRI
알수있는질환
추간판 탈출증,척추강 협착증,척추염
-무릅MRI(좌,우) : KNEE MRI
알수있는질환
뼈의 구조보다 연부조직 손상 진단
조기 진단과 치료가 필요할 때 중요
인대 및 근육파열 진단에 유리
-어깨MRI(좌,우) : SHOULDER MRI
알수있는질환
회전 근개의 파열
극상근, 극하근, 견갑하근, 소원근의 힘줄진단
습관성 탈구의 진단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검진] 대장내시경, 얼리텍, M2-PK 차이점 / 검사방법 뭐가 좋을까? 대장검사정리 (0) | 2022.11.04 |
---|---|
[건강검진]안저검사, 안압검사 검사방법 및 관련질환 (0) | 2022.11.01 |
탈모에 좋은 비오틴 효과 및 부작용 추천 영양제 (0) | 2022.10.15 |
[건강] 대장 용종 이란? (Polyp of colon) 용종모양, 용종발생원인, 위험인자 (0) | 2022.10.14 |
[건강검진] 대장내시경 용종제거, 보험금 청구? 발급서류? 질병코드? (0) | 2022.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