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위검사를 진행하거나 대장검사를 진행할경우

내시경을 이용하는데요.

 

내시경을 진행하게되면

수면으로 진행할건지 일반으로 진행할건지

선택의 기로에 놓이게 됩니다.

 

내시경 이란?

 

내시경은 긴 호스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입으로 삽입해 위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항문으로 삽입해 대장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식도나 항문을 통해 내시경 장비를 삽입할 때 고통이 따를수 밖에 없습니다.

위내시경의 경우 대부분의 환자들이 구역감이나 인후통, 질식감을 호소하며,

대장내시경의 경우 참기 힘든 통증을 호소합니다.

내시경 검사를 하면 공기를 주입하기 때문에 가스가 찬 느낌과 복부에 불편함이 있을 수 있지만

계속 트림, 방귀를 하면 증상이 호전됩니다. 배가 계속아플경우 배를 따뜻하게하여

장운동을 활발하게 하여 빠르게 가스를 배출하는게 좋습니다.

 

위내시경으로 식도,위,십이지장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속쓰림, 소화불량, 미식거림/구토, 상복부통증, 역류증상(신물, 가슴쓰림), 목의 이물감 등이 있을때 이용합니다.
특히나, 체중 감소나 흑색변이 있을 경우 위암 감별을 위해 반드시 검사를 시행해  보아야 합니다.

 

일반내시경(비수면내시경)

 

비수면내시경은 말 그대로 의식이 있는 상태로 검사를 진행하는 것입니다.

비수면 위내시경을 할 때는 내시경 삽입 시 통증 및 이물감을 경감시키기 위해

분무식이나 가글 형태의 국소 마취제를 사용하는데

기도 흡인의 위험이 있음므로 식사는 목의 마취가 풀릴 때까지 최소 30분 정도 참아야 합니다.

검사시간은 대부분 2~4분으로 짧기 때문에 잠깐만 참으면 됩니다.

내시경이 들어갈때 호흡만 잘하면 쉽게 내시경을 받아(?)들일수 있습니다.

 

일반위내시경 장점

 

검사비용이 저렴(수면약제비용추가X)

검사시간이 적게 걸림(회복시간 불필요)

약물부작용이 없음

 

일반위내시경 단점

 

검사가 불편하고 고통스러움

구역질이 심할경우 자세한 관찰이 어려움

 

 

수면내시경 이란?


흔히 수면 내시경으로 알려진 이검사의 정확한 명칭은 "의식 하 진정내시경"입니다.
내시경 전 진정수면제를 정주하게 되면 수검자는 긴장이 풀어지면서, 

수면상태가 되므로 수월하게 검사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단, 진정수면제의 부작용으로 인해 저산소증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고령이시거나 급성질환을 앓고 계신 분은 적용할 수 없습니다.
검사를 받는 수검자는 검사 전 날 9시부터 금식을 하여야 하며, 

수면내시경 검사 시에는 자가 운전은 피하시는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인 마취와는 다릅니다. 마취의 경우는 감각을 느낄수 없지만

수면내시경의 진정상태는 진정제로 잠을 자는 것과 같은 상태를 만드는것으로

진정되는 정도에 따라 움직임도 있을수 있고 다른사람의 말에 

반응하기도 하며, 통증이나 구역질을 느낄수 있습니다.(검사자는 기억을 못하지만)

미다졸람, 프로포폴 등의 마약성 약물을 맞게 되고, 수 초에서 수 분 안에 정신이 몽롱해지는

진정상태나 가수면상태가 돼 내시경을 받기 용이해 집니다.

 

수면약제가 들어갈때 잠드는지 확인하기 위해 숫자를 세는데

5를 넘어 본적이 없네요. ㅋㅋ 숫자를 세다가 눈뜨면 이미 회복실..

나는 누구? 여긴 어디? 졸리군.. 더 자야지..

 

수면위내시경 장점

 

내시경을 편하게 받을수 있다

의료인인 꼼꼼이 관찰할수 있다.(일반내시경시 구역질이 심한사람은 짧게 밖에 못봄)

 

수면위내시경 단점

 

회복시간이 추가로 필요

약제비용이 추가로 발생 (병원별로 3~17만원까지 다양한 부담이 추가로 발생됨)

검진센터의 경우 추가비용이 없는 경우도 있음

회복중 낙상의 문제

수면내시경후 운전부주의에 의한 사고가능성

약물부작용(두통, 오심, 구토등, 심할경우 부정맥, 호흡부전, 사망등 심각한 부작용)

 

또다른 위검사 방법

 

위장조영촬영 U.G.I

 

위장조영검사란 조영제를 먹은 후 위와 십이지장의 염증 혹은 

위염, 궤양,폴립, 게실, 선천성기형, 위석, 
종양, 협착, 외상 또는 위 수술 후 누출 등을 진단하기에 시행하는 검사입니다. 
이 검사는 매우 안전하며, 검사 시 특별한 부작용이 없고, 90%이상의 진단율을 보이며, 
노약자나 심장 혹은 폐 등이 좋지 않아 위 내시경이 어려운 환자 및 

내시경으로 알 수 없는 위 장관 운동질환도 알 수 있습니다.


방사선을 사용하는 검사이므로 임산부나 임신 가능 여성은 검사가 불가능합니다.
검진 전날 9시부터 금식이며 검사 당일 물을 드시면 검사가 안됩니다 .

(물길이 있을경우 조영제가 위벽에코팅이 안될수 있어 검진결과가 정확하지 않음)

 

펩시노겐 pepsinogen

 

위암발생 잠재적 위험/위암 예측인자로 위암발생가능성이 알고 싶을때 진행
혈액검사로 위암 검사가능(펩시노겐I, 펩시노겐II, I/II ratio)

펩시노겐은 위에서 나오는 소화효소로, Ⅰ형과 Ⅱ형의 두 가지 형태가 있습니다.

펩시노겐 검사에서는 두 형태의 펩시노겐 수치를 활용해 위암 발생률을 진단하기위해 시행합니다.
혈액검사진행시 같이 진행되므로, 검사 시간이 많이 단축됩니다.

 

------------------------

위 내시경 검사 언제해야할까?

위내시경검사는

식도 및 위, 십이지장을 관찰할수 있습니다.

상복부통증이나 속쓰림, 구역질, 구토

식욕부진, 위산역류, 소화불량등

위장관관련 증상이 있을경우

내시경으로 확인하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증상이 없더라도 2년마다 받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국가암지원사업에서는 만40세이상은 2년마다 위내시경이 지원됩니다.

(짝수년 , 홀수년, 출샌년도 끝자리 기준 지원 )

 

 

 

 

 

대장내시경 검사의 모든 것 / 대장내시경 완벽정리

1. 대장내시경(colonoscopy) 은 무엇인가? 내시경을  항문을 통해 회장말단과 대장이 시작되는 상행결장까지 삽입한 후, 결장(대장) 전부와 소장 말단을 직접 관찰하는  것입니다. 흔히 

jidoja.tistory.com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