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저검사 (Fundus examination)

 

안저란?


-안저란 동공을 통해 볼 때
확인되는 안구의 안쪽면을 말함
-망막과 시신경 유두, 황반, 맥락막 등이 분포


안저 검사 방법


- 암실 안에서 동공을 확대해 동공 중앙을 통해 
안저를 관찰하고 카메라로 촬영합니다.


- 1차적으로 특정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 
그 부위를 집중적으로 확대 촬영 합니다.
-촬영 시 번쩍거리는 빛이 나오므로
반드시 사전에 알려야 합니다.


-사진 촬영 후 동공이 작아지기 때문에
한쪽 눈을 촬영한 후 동공이 확대 될 때 까지
시간이 지난 후 나머지 눈을 촬영합니다.

-동공이 너무 작은 경우 산동제를 사용하여
동공을 확대해서 검사를 시행하는
경우가 있습니다.(검진센터에서는 사용 X)

-정밀검사가 필요할경우 혈관에 조영제 주입 후
1초에 한 장 이상 수 십장을 연속 촬영 할 수 있는
검사를 시행합니다.


안저 검진 순서


1.턱받이에 턱을 댄 후 이마도 붙이고 
시선은 정면을 향하여 주황-> 녹색 불빛을 
따라 가야 하며 눈을 크게 떠야 
정확한 촬영이 이루어집니다.
이때 얼굴의 높이는 흰 선에 
눈이 맞아야 적당합니다.

2.이미지가 모니터 중심에 거의 나타나도록 
높이 조정 링을 돌리고 작동 레버를 기울입니다.

3.수검자에게 내부 눈 고정 램프(주황빛)를 
쳐다 보게 합니다.

4.동공의 분리된 이미지가 조정 될 때까지 
작동레버를 기울입니다.

5. 조정 스위치를 누릅니다.
6. 내부 눈 고정 램프(녹색 빛)을 쳐다 보게 합니다.
7. 망막 이미지를 작동 레버를 이용해 작업 점의 위치에 
정확하게 조정하고, 초점 손잡이를 돌려 
분리 막대를 맞추어야 합니다.
-> 분리 막대가 맞추어질 때 초점이 정확합니다.

-만일 망막 이미지가 적절하게 위치하지 않으면, 
망막 이미지의 주변에 불빛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8. 셔터를 눌러 촬영합니다.

안저 검사 관련 질환


동공을 통해 안저를 관찰함으로써 
망막의 여러 변성, 외상성 질환, 
당뇨 및 고혈압으로 인한 망막 손상 정도, 
동맥경화증, 백내장, 녹내장의 
진행여부까지 알 수 있습니다. 


- 안저에는 동맥과 정맥이 떠올라 있어 
있는 대로의 상태를 관찰 할 수 있으며 
생체에서 그대로 혈관을 관찰 할 수 있는 
유일한 곳입니다.

정상안저
중심성 망막 변성
수정체혼탁
맥락막결손
망막염과 출혈


백내장이란?


백내장은 수정체가 혼탁해져 
망막에 빛이 닿지 않아 시력이 떨어지는 질환


안압검사 (Tonometry)


안압이란?


-안구 내부의 압력을 말함
-눈 내부에는 방수라는 액체가 있어 끊임없이

눈의 안과 밖을 움직이면서 눈 조직에 영양을
공급하고 일정한 압력을 유지
-안압이 증가하면 시신경이 심하게 손상

 


안압검사란?


-안구 속을 채우고 있는 액체인 방수로 인해
생기는 압력을 측정하는 검사입니다.
- 안압의 정상 범위 : 12 ~ 20mmHg


안압 검사 방법


비접촉식 검사 방법
-안저 검사와 동일하게 자세를 취한 후 
시선은 정면을 향하여 녹색 불빛을 봅니다. 


-공기가 나오면서 측정이 되므로 반드시 
“ 공기가 나오니 놀라지 마세요” 라고 
사전에 미리 알려 주어야 합니다.


- 하드렌즈나 안경 착용자는 
제거 후에 검사를 시작합니다.


비접촉식(공기안압계) :


-각막 마취가 필요 없이 바람을  쏘아 각막에서
돌아오는 바람의 양을 측정하여 안압을 검사 .
-안정성과 빠른검사의 장점이 있는 반면
오차 범위가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접촉식(압형안압계) :


-각막 마취 후 각막의 표면에 안압계를
수직으로 대고 안압을 측정. 
-전염과 염증의 문제점이 있는 반면
오차 범위가 거의 없습니다,

-안압검사에서 이상시 안압 검사의 반복 측정과 
시야 검사, 검안경 검사로 더욱 정밀한 검사가 
이루어 져야 합니다.


-안압은 혈압처럼 하루중에도 오르락 내리락 
다르게 측정되고 개인의 컨디션이나 상태에 따라서 
또는 눈을 제대로 못 떠 눈썹이나 눈꺼풀에 
바람이 맞은 경우에 일시적 높게 나올 수 있습니다.


-눈에 외상을 입었거나, 백내장, 당뇨를 오래 앓았거나
 스테로이드 안약을 만성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녹내장 유발이 높으므로 안압 검사는 필수적 입니다.


안압 검사 관련 질환


안압검사를 통해 알 수있는 관련질환은?
- 대표적으로 녹내장을 검사 ( 안구 내압이 21mmHg 이상 )
- 정상 수치 이하인 경우 : 눈안의 물이 부족한 탈수나
망막 박리, 안구 위축 등을 의심하게 됩니다.
-안압이 정상이라도 시신경 손상으로 인한 
시야 감소가 있으면 녹내장으로 진단
-양 눈의 안압 차이가 5mmHg 이상이면 녹내장의 위험군   
-안압이 정상보다 높게 측정되도 시신경이나 
시야 검사상 정상이라면 고안압증으로 분류(정기검진필요)


녹내장이란?


여러가지 이유로 안압이 상승해서 시신경을 압박해 
시신경이 손상되게 되고, 이로인해 안구통, 
두통과 더불어 시력저하나 시야가 좁아지다 
시력을 잃게 되는 질환.
(시야의 주변부 부터 암흑으로 변해 나중엔
마치 파이프로 세상을 바라보듯 시야가 좁아집니다.)

녹내장 시야변화




반응형

+ Recent posts